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원인 모를 사타구니통증, 고관절통증 혹시 고관절충돌증후군?

by 최거성 2023. 3. 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헬물사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사타구니라고 부르는 고관절통증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인 고관절충돌증후군을 준비했습니다. 병원에서 치료하다 보면 사타구니 주변이 요상하게 아프다는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괜찮은데 움직이면 아프고 불편하다고 말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사타구니통증, 고관절통증을 일으키는 고관절충돌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et's go!

사타구니통증
사타구니통증


고관절충돌증후군(hip impingement syndrome)

고관절을 형성하는 볼과 소켓 모양으로 서로 잘 맞물려서 움직이는 골반뼈와 허벅지 뼈가 후천적으로 변형이 되거나 선천적 구조상 움직일 때마다 부딪히는 바람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고관절충돌증후군이란 고관절을 형성하고 있는 둥근 모양의 비구와 대퇴 골두 및 경부의 형태학적인 이상으로 비구와 대퇴골두 또는 대퇴 경부가 서로 부딪혀서 고나절 연골이 상하게 되고 관절와순과 같은 섬유성 연골조직이 찢어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격하게 다리를 돌리거나 뒤트는 동작을 자주하거나 고관절이 과하게 굽혀지는 움직임들이 고관절에 자극이 되어 변형이 일어나게 됩니다. 방향 전환을 자주 하게 되는 축구나 돌려차기 등 뒤트는 동작이 많은 태권도나 격투기, 과도한 스트레칭, 양반다리로 자주 바닥에 앉아있는 습관등이 발병의 주요 원인입니다.

고관절충돌증후군은 아래의 그림처럼 3가지 타입으로 분류됩니다.

고관절충돌증후군 타입
고관절충돌증후군 3가지 타입

◆ 고관절충돌증후군 주요 증상

① 고관절 앞쪽 사타구니(서혜부)통증이 나타납니다.

② 고관절 바깥쪽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③ 오래 앉아있다가 일어날때, 장시간 운전 후 하차할 때 증상이 심합니다.

④ 운동 후 통증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⑤ 통증이 없는 반대편 다리와 비교했을 때 고관절 앞쪽이 단단하게 느껴집니다.

⑥ 고관절을 굽히거나 안쪽으로 돌리는 자세를 할 때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해집니다.

고관절충돌증후군 검사방법

◆ 고관절충돌증후군 검사 방법

① 전방충돌 검사 : 아픈쪽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90º 접고 살짝 안쪽으로 밀면서 고관절을 검사자 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사타구니 통증이 있다면 고관절 전방 충돌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② 후방충돌 검사 : 침대 하단부에 다리가 떨어지도록 걸터서 누워 아픈 쪽 고관절을 제기차기 동작으로 회전시켰을 때 사타구니나 엉덩이 쪽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후방 충돌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고관절충돌증후군 치료 방법

◆ 보전적 치료

보전적 치료로 약과 물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 등을 통해 사타구니 통증을 줄여주고 고관절에 자극이 되는 활동을 최대한 삼가하고 휴식을 통해 회복을 도모하는 방법입니다. 60% 이상이 보존적 치료로 증상 호전이 가능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경우 대체로 좋아질 수 있으며 고관절 주변을 많이 풀어주고 고관절의 가동성을 높이는 스트레칭을 해주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통증이 심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크다면 주사치료를 시행하여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줄여주게 됩니다.

◆ 수술

보존적 치료를 1~3개월 이상 지속했음에도 사타구니 통증이 심하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있다면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퇴행성 변화로 인해 고관절 충돌을 일으키는 부위를 제거하여 충돌 원인을 제거해 주는 방법입니다. 

관절경수술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고관절수술

고관절충돌증후군에 도움되는 운동

중둔근 운동
중둔근 근력강화 운동

운동하고자 하는 방향이 위로가게 옆으로 누운 후 무릎을 90º 접어줍니다. 발목은 붙이고 무릎만 벌려줍니다. 이때 골반이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고관절 이용해서 시행합니다. 15~20회 4세트, 양쪽 모두 시행합니다.

개구리자세
개구리자세 + 내회전

바닥에서 네발기기 자세를 취하고 발목을 바깥쪽으로 가능한 만큼 회전시켜 줍니다. 그 상태에서 척추는 1자를 유지하고 상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고관절을 스트레칭시킨 후 상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무릎을 바깥쪽으로 한쪽씩 돌려줍니다.

장요근 스트레칭
장요근 스트레칭

엉덩이와 허벅지의 앞쪽을 스트레칭하려면 엉덩이 앞쪽을 아래로 내리면서 팔을 곧게 펴서 상체를 똑바로 세우십시오. 이것은 엉덩이 앞쪽(장요근)에 탁월한 스트레칭이며 허리 부위에 좋습니다. 10~15초 동안 유지합니다. 반대쪽도 반복합니다.


여기까지 고관절충돌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운동을 무작정 따라 하시기 보다 병원에 가셔서 검사와 진단을 받으시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은 후 운동과 스트레칭을 시행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