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손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에 대해 알아보고 손상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체크방법, 치료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축구 골키퍼 하다가 공에 손목이 꺾여 TFCC 부상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직업이 손을 많이 쓰는 것이다 보니 쉽게 낫지 않고 오래 지속되어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했었습니다. 그럼 TFCC에 대해 알아보러 가시죠.
삼각섬유연골복합체는 너무길어서 이하에서는 TFCC로 표기하겠습니다.
1.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 :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lex)
TFCC는 쉽게 얘기하자면 삼각형모양이며 여러개의 인대, 힘줄과 삼각섬유연골이 합쳐진 복합체를 의미합니다. 이중 삼각섬유연골은 중추역할을 합니다. 해당 부위의 중심부 약 80%는 혈관이 없어 손상 시 치유가 되지 않거나 더디게 치유됩니다.
손목 내측의 강화와 관절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기능을 합니다. 손목에 가해지는 압력의 약 20% 정도를 받아주는 역할도 있습니다.
2. TFCC 손상의 증상 및 체크방법
① 손목이 시큰거리고,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있다.
② 손목의 새끼손가락 쪽으로 둔한 통증이 발생한다.
③ 손목을 돌리거나, 땅에 손을 짚고 일어날 때 통증이 있다.
④ 병을 돌려따거나 힘을 줘서 비틀기 힘들다.
⑤ 문고리를 돌리면 통증이 심하다.
◆ 체크방법
ⓐ 아픈 손으로 의자 손잡이를 잡고 일어날 때 통증이 있는지 체크합니다.
ⓑ 손목을 꺽어 놓고 다른 손으로 눌러보거나 돌려서 체크합니다.
ⓒ 새끼손가락쪽 손목의 톡 튀어나온 뼈를 아래로 눌러 체크합니다.
이렇게 해보았을 때 통증이 발생한다면 삼각섬유연골복합체의 손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3. TFCC 손상 원인은?
크게 3가지 분류로 원인이 나뉩니다.
1. 퇴행성
- 노화로 인하여 이대 및 관절 연골의 약화
- 손목을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직업군
-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을 과사용하여 발생하는 젊은 층에서도 발생
2. 외상성
- 넘어질 때 땅을 손으로 짚으면서 발생
- 야구나 축구 혹은 테니스와 격투기 같은 과격한 스포츠로 인한 손상
- 팔씨름과 같이 갑작스럽게 힘을 주거나 손목을 비트는 운동
3. 만성염증
-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통증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 있는 경우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이 심한 경우 40% 정도가 해당
4. TFCC 손상시 치료방법과 관리
모든 치료가 그렇듯 TFCC 손상 역시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치료가 있습니다.
◆ 비수술치료
증상이 경미하거나 파열이 없는 경우에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기본적으로 소염진통제와 물리치료, 손목의 고정, 재활치료를 통해 증상을 호전시킵니다. 통증이 심하다면 스테로이드 주사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관절에 최대한 휴식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방법에도 호전의 없는 경우 4주 정도 깁스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수술치료
통증이 심하고 파열이 있는 경우, 비수술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경우 수술을 시행합니다. 보통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절개 수술을 시행합니다.
여기까지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TFCC 부상은 운동 중에 흔하게 발생하는 손목통증 중 하나입니다. 운동하는 많은 사람들이 쉽게 다치고 잘 회복되지 않는 질환입니다. 운동할 때 항상 보호대를 잘 착용하여 관절을 미리 보호하고 다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운동합시다. 감사합니다.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반다리가 우리몸에 미치는 영향(feat. 관절, 척추 바사삭) (0) | 2022.12.27 |
---|---|
목뒤에 볼록한 살, 지방? 버섯증후군 (0) | 2022.12.26 |
인대증식주사에 대해 알아보자(프롤로 주사) (0) | 2022.12.23 |
엄지발가락이 휘었어요. 무지외반증 어떻게 해야하나 (0) | 2022.12.20 |
엄지 손가락과 손목이 아픈이유 손목건초염(드퀘르벵 증후군) (1)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