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버섯증후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버섯증후군? 그게 뭐야?
버섯증후군? 생소한 질환 일수 있습니다. 목 뒤에서 등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볼록한 버섯모양으로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일컫는 질환입니다. 위 사진의 왼쪽처럼 지방이 축적되어 볼록한 형태가 나타납니다. 이는 잘못된 자세가 장기간 이어져 온 경우에 주로 발생합니다.
버섯증후군은 거북목과 세트이며 거북목이 오래 지속될 경우 나타나게 됩니다. 거북목은 목이 점점 앞으로 이동되어 끊어질듯한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목은 이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해 점점 두꺼워집니다. 거기에 지방층을 형성하여 충격 흡수에 용이한 조직으로 변모하는데 이것이 버섯증후군입니다.
버섯증후군은 측면에서 사진을 찍어보거나 다른 사람이 쉽게 확인해 줄 수 있으며 직접 만져보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 버섯증후군이 생기는 원인
자세로 인한 영향 외에도 골다공증,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 척추압박골절, 다이어트 약물의 부작용, 쿠싱 증후군과 같은 호르몬장애 등 여러 가지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별한 원인이 있는 경우는 교정이 불가능하지만 잘못된 자세로 인한 버섯증후군은 교정할 수 있습니다.
거북목은 각도에 따라 목에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목뒤에서 20kg에 가까운 하중에 가해지기 때문에 경추에 엄청난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를 이겨내기 위해 지방이라는 방패를 목뒤에 만들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기존에는 중년 이상의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었지만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이후로 10~30대 사이에 비율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버섯증후군이 생기는 원인(거북목)
* 하루에 5시간 이상 컴퓨터 작업을 한다.
*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장시간 사용
* 경추의 구조적 문제가 있는 경우
* 상지교차증후군
3. 버섯증후군 관리방법
① 긴장된 근육 이완
· 뒤통수뼈가 끝나는 부분 바로아래 땅콩볼을 위치시키고 지그시 눌러줍니다.
· 고개를 좌, 우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특히 아픈 부위를 찾아 지긋이 압박해 줍니다.
· 5분 정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목을 돌렸을 때 도드라지는 근육인 흉쇄유돌근을 잡고 부드럽게 꼬집듯이 마사지합니다.
·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골고루 풀어줍니다. 좌, 우측 동일하게 1분씩 시행합니다.
② 약화된 근육 강화
· 바닥이나 침대에 베개 없이 편히 눕습니다.
· 턱을 침대방향으로 당겨줍니다.(머리가 뜨지 않도록 주의)
· 당긴자세로 10~15초 유지 X 3 SET
· 목 밑에 수건을 놓고 하면 운동하는 느낌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 편하게 앉은 자세에서 턱을 당겨줍니다.(이중턱을 만든다는 생각으로) 고개숙이기X
· 처음에는 턱당기기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손으로 도움을 줍니다.
· 당긴자세로 10~15초 유지 X 3 SET
위 동작은 가슴근육과 광배근 스트레칭에 좋은 운동이며 척추의 가동성을 높여주고 햄스트링까지 스트레칭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어깨 가동성과 안정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위 동작은 등 상부와 어깨 근육을 활성화하여 자세를 개선하고 흉추의 가동성에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등근육 스트레칭과 강화운동을 통해 굽은등을 펴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을 같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교정은 단기간에 되는 것이 아니며 교정운동을 하는 동안에도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은 계속되기 때문에 금방 고쳐질 수 없습니다. 때문에 그냥 하루 일과 중에 습관처럼 지속해 주어야 일정기간이 지난 후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끈기와 노력이 중요합니다.
여기까지 버섯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버섯증후군까지는 아니더라도 내가 거북목이라고 생각되시면 해당 마사지와 운동을 꾸준히 따라 해서 버섯증후군을 예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리가 저린데 디스크가 아니라고? 이상근증후군 (0) | 2022.12.28 |
---|---|
양반다리가 우리몸에 미치는 영향(feat. 관절, 척추 바사삭) (0) | 2022.12.27 |
손목통증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파열? (0) | 2022.12.25 |
인대증식주사에 대해 알아보자(프롤로 주사) (0) | 2022.12.23 |
엄지발가락이 휘었어요. 무지외반증 어떻게 해야하나 (0)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