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헬스하는 물리치료사 헬물사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무릎 연골파열(반월상 연골파열)을 준비했습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무릎 연골파열은 관절연골이 아니라 반월상 연골이라는 녀석이 파열된 경우입니다. 그럼 반월상 연골파열에 대해 알아보러 가시죠. Let's go
1. 반월상 연골 파열 처음들어보는데?
무릎관절을 이루는 뼈의 끝부분은 매끄러운 조직으로 덮여있는데 이는 관절 연골(Articular Cartilage)입니다. 관절연골의 기본적인 기능은 마찰이 없이 관절을 굽히거나 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관절연골은 찢어지는 형태의 파열이 일어나지 않고 떨어져 나가거나 닳는 형태로 손상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연골 파열이라 함은 반월상 연골파열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반월상 연골은 무릎 내의 충격과 마찰을 최소화하고 완충역할을 하는 반달 모양의 물렁뼈로, 무릎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위치하여 무릎 관절을 회전력으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외부의 충격이나 과격한 운동, 퇴행성 변화 등으로 파열이 나타날 수 있으며 파열된 반월상 연골판은 혈액공급이 되지 않는 부위가 많아 회복되기 어려우며 시간이 갈수록 추가적인 파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약 1/3 정도는 혈액공급이 되어 치유가 가능하고 나머지 2/3 부분은 혈액공급이 없어 치유가 불가능합니다. 안타깝게도 치유가 되지 않는 2/3 부분의 파열이 더 쉽고 흔하게 일어납니다.
반월상 연골파열은 운동 중 일어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운동을 하다가 관절에 외력이 가해지면 무릎이 뒤틀리거나 전후, 좌우로 심하게 꺾일 때 발생하는데, 고정된 하퇴에 대하여 대퇴의 내회전력이 가해지면서 내측에 있는 반월상 연골에서 손상이 일어나며, 대퇴의 외회전력이 가해지면 외측에 있는 반월상 연골이 손상됩니다.
2. 반월상 연골파열의 원인은?
① 스포츠손상 : 아직 노화가 진행되지 않은 젊은 층의 경우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지 않은 상태로 과격한 스포츠(축구, 풋살, 야구, 테니스 등)를 할 때 파열될 수 있습니다.
② 비접촉성 손상 : 갑작스러운 방향전환, 급정지 등 갑작스러운 동작을 할 때 뼈 사이에 연골판이 끼여 파열될 수 있습니다. 등산하다가 삐끗하는 주로 발생합니다.
③ 퇴행성 손상 : 노화로 인해 연골판에 퇴행이 발생해 통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무릎을 자주 구부리거나 쪼그려 앉는 동작이 많은 주부들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3. 반월상 연골파열의 주요 증상은?
① 무릎을 움직일 때 통증이 있다.
② 쪼그려 앉거나 몸을 돌릴 때 통증이 있다.
③ 양반 다리를 하거나 무릎을 구부릴 때 심한 통증이 있다.
④ 무릎이 힘없이 꺾이거나, 다른 부위보다 관절이 심하게 붓는다.
⑤ 무릎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과 함께 '뚜둑'하는 소리가 난다.
⑥ 무릎을 접거나 펴기가 불편하고 통증이 있다.
4. 반월상 연골파열 치료방법
부상을 당하거나 통증이 생긴 초기에 빨리 치료를 시작하고 증상이 경미한 경우는 보존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합니다. 약과 물리치료, 운동치료를 시행하며 경과를 지켜봅니다. 일정시간 이상이 흐른 후에도 호전이 없고 통증이 심한 경우라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작은 파열이 큰 파열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통증이 심하거나 무릎을 굽혔다 펴는 게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수술은 파열된 모양, 환자의 나이, 통증, 증상 등을 고려하여 방법을 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를 통해 어떠한 수술을 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대체로 관절내시경 수술이 주로 활용됩니다.
5. 반월상 연골파열 재활 관리방법
파열 초기에는 염증이 있어 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염제 복용, 물리치료, 휴식 후 통증이 어느 정도 가라앉으면 평지 걷기부터 시작합니다. 통증이 있고 무릎이 불안정하다면 등산 스틱을 잡고 10~15분씩 시간 나는 대로 걷기 운동을 하면 좋습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고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 걷는 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오르막이나 내리막은 피하고 평지를 걷는 것이 무리 없이 운동하기에 좋습니다.
무릎, 허리, 고관절, 발목과 같은 체중부하 관절은 몸무게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체중감량을 통해 무릎에 부하를 줄여주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과체중인 경우 체중 부하를 줄여준 상태로 할 수 있는 운동인 실내자전거, 물속에서 걷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 그림에 있는 재활 운동을 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중에서 마지막 그림에 나와있는 공을 벽에 대고 굴리는 형태인 월스쿼트를 해주면 좋습니다. 그냥 벽에 몸을 기대고하면 마찰력때문에 올라갔다 내려갔다가 부드럽지 않기 때문에 몸과 벽사이에 말랑한 공을 하나 끼우고 스쿼트 동작을 시행하면 무릎을 강화하고 재활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여기까지 반월상 연골파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골파열과 재활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숙지하시고 항상 부상조심하시고 운동이나 등산 전 충분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벅뒤 뒤에서 뚝! 햄스트링손상 (0) | 2023.01.08 |
---|---|
PRP주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1.05 |
다리가 무겁고 자주 부어요. 하지정맥류 (0) | 2023.01.02 |
통증이 있을 때 냉찜질할까, 온찜질할까? (0) | 2022.12.29 |
다리가 저린데 디스크가 아니라고? 이상근증후군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