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스트레스 받으면 뭉치는 근육이 있다? 승모근통증

by 최거성 2022. 12. 14.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해 자극받는 근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갑자기 충격적인 이야기 듣고 난 후 뒷목 잡고 쓰러지는 경우를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혈압 때문에 그럴 수도 있지만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로가 쌓일 때 어깨가 뭉치거나 뒷골이 땅기고 담이 결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어떠한 이유로 목, 어깨에 통증을 야기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트레스로인한 승모근통증

1. 심리적 스트레스가 근육에 주는 영향

심리적인 상태에 따라 어깨 근육 뭉침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날 유독 어깨가 뻐근해 지는 것을 경험해 보신 분들도 있을 겁니다. 우리의 뇌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는 신경 통로와 어깨와 목주변 근육의 신경 통로가 같아서 그런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뇌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느끼면 신경이 활성화 되어 어깨 근육의 신경도 영향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목 뒤, 어깨, 등까지 넓게 자리한 '승모근'은 스트레스에 민감해 잘 뭉치고 통증을 유발해 스트레스 근육이라고도 불립니다.

좀더 깊이 들어가 보면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르티솔 등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하게 되고 그런 영향으로 근육이 긴장하게 됩니다. 근육의 긴장이 지속되면 혈액순환이 느려지면서 근육에 대사 물질이 쌓이게 되고 산소 결핍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면서 근육이 피로해지고 염증 발생 등에 의해 자극되면서 통증을 일으킵니다. 이런 통증과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몇 주간 지속되면 근육 속에 콜라겐 성분에 의한 섬유성 조직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로서 근육은 더 굳어지게 되는데 이런 과정의 반복은 결국 근육 속에 손으로 만져도 느낄 수 있는 딱딱하고 질긴 조직들을 생성시킵니다. 이렇게 딱딱하고 질겨진 근육들은 가벼운 자극이나 움직임에도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연구에 의하면 우리 몸이 이런 높은 정도의 근육 긴장에 자주 노출되게 되면 나중에 오히려 우리 몸 스스로가 그 정도의 근육 긴장을 무의식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스트레스가 우리를 이런 악순환의 고리로 물고 갈 수 있습니다. 

특히 스트레스에 민감한 근육들이 있는데 눈 주위에 있는 안면 근육, 어깨를 으쓱 할 때 사용되는 근육, 목 근육과 턱관절 근육 그리고 척추기립근 등이 해당됩니다. 안면 근육 중 눈 썹이 시작되는 부위의 추미근(미간을 찡그릴 때 사용)은 우리 몸 전체의 스트레스를 가늠하는 표시기 같은 역할을 하는데 스트레스가 심한 사람일수록 만져보면 심한 통증을 느낀다. 또 승모근은 앞서 언급한 '딱딱하고 질긴' 조직의 발생이 가장 많고 가장 통증을 많이 일으키는 곳이다.

2. 스트레스로 인한 통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

그렇다면 이런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 통증은 어떻게 해소시켜야 할까요?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스트레스를 안받는 것이지만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받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경우라면 그것을 해소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모든 전문가들이 권장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적당한 유산소 운동은 이런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통이 주로 활동량이 적은 직업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아주 효과적인 해결책이라고 합니다. 유산소 운동과 더불어 스트레칭도 아주 효과가 좋습니다. 근육이 긴장한다는 의미는 그 길이가 짧아진다는 의미이기도 하기에 스트레칭을 통해 근섬유의 길이를 본래의 상태로 되돌린다면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스가 근육통을 유발하는 것과 반대로 근육의 긴장 또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이 됩니다. 근육이 굳어있으면 신경이 날카로워져서 스트레스에 더 민감해지게 되고 반대로 근육이 풀리면 민감한 것이 떨어진다고 합니다.그렇기 때문에 도수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교정치료를 통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을 맞춰 신경계를 안정화시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마사지를 받거나 온욕, 반신욕 등 따뜻한 물에 몸을 담그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근육이 이완되면 신경도 이완되어 마음이 편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스트레스가 우리몸의 근육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가 치료하는 환자분이 "실장님 왜 스트레스받으면 어깨가 뭉쳐요?"라는 질문을 하셔서 "저도 정확히 알아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라고 대답한 후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처럼 블로그를 하면서 저에게 긍정적인 부분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제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