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결절종을 준비했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손목에 혹이 생기더니 움직일 때마다 통증을 일으키는 녀석입니다. 결절종이 무엇인지, 원인과 치료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go!
1. 결절종(Ganglion cyst)이란?
손목물혹이라고도 불리는 결절종은 손이나 손목부 또는 발목에 가장 흔하게 생기는 비암성종양입니다. 피부 밑에 투명한 젤리 같은 관절액이 스며들면서 물혹이 되는 것입니다.
결절종은 노랗고 젤라틴처럼 끈적이는 액체를 함유하고 있는 물혹성 종양으로 관절 사이에 생기는 비암성종양으로 특히 손에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합니다. 손에 생기는 종양의 50~7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손이나 손목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발이나 발독 등 기타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이나 손목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관절이나 힘줄막 내의 관절액이 연부 조직으로 새어 나와 피부가 부풀어 오르게 되는 것으로 주로 손목에 나타납니다.
결절종은 남자보다 여성에게 2~3배 많이 발생하며 20~30대 젊은층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2. 결절종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까지 결절종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지만 주로 외상과 관련이 깊다고 보고 있습니다.
▶ 외상으로 인해 힘줄막 내 관절액이 새어 나와 고이면서 생기는 경우
▶ 관절을 싸고 있는 막의 세포들이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점액을 생성하고 이것이 결절종이 되는 경우
▶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 집안일을 많이 하는 주부 등 손목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
▶ 오랜 시간 동안 손가락을 구부린체로 일하는 경우
3. 결절종의 증상은?
▶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는 혹이 나타나며, 단단하지만 만져봤을 때 출렁거림이 있다.
▶ 특별한 통증이나 이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결절종 위치에 따라 움직일 때 불편감이 있다.
▶ 결절종이 생긴 관절을 움직여도 물혹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 한 개가 아니라 여러 개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간혹 신경 또는 혈관이 압박되는 경우 통증과 근력 저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4. 결절종 치료대상과 치료방법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혹이 크고 통증이 심한 경우, 신경 등 주변조직을 압박해 손 저림이나 근력저하가 생기는 경우, 미관상 보기 안 좋은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 결절종 치료대상
▶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되어 통증이나 근력 약화가 나타나는 경우
▶ 혈관 주위에 발생하여 맥이 뛰는 것이 크게 느껴지는 경우
▶ 물건을 집었을 때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 미관상 신경이 쓰이는 경우
결절종의 기본적인 치료는 외부에서 압박해 파열시키거나, 결절종 내의 액체를 주사기로 뽑아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쉬운 반면 재발의 확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결절종 수술이 필요한 경우
▶ 주사기 흡입 치료 후에도 계속 재발하는 경우
▶ 결절종으로 인해 통증이 심하고 해당 부위 사용에 불편함이 큰 경우
재발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수술로 절제하는 것이지만 관절막을 지나치게 많이 절제하면 손목의 힘이 약해지는 등 손목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고 흉터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 수술 후 회복기간
수술하게 되면 반깁스로 약 3주간 고정하고 그 후 3주 동안 보조기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 손을 사용하는 데 있어 불편함이 발생하고 약 6주 정도 지나야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는 정도로 회복됩니다.
여기까지 결절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병원에서 치료하다 보면 간간히 결절종이 있는 환자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젊은 여성분들이었습니다. 포토샵, CAD 등 하루종일 마우스질을 많이 하는 여성분들은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중간중간 적절한 휴식과 손목스트레칭을 통해 손과 손목을 아끼면서 일하는 게 중요합니다. 우리 모두 손목 조심합시다.
오늘도 제 블로그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는 사랑입니다.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기 힘든 극심한 통증과 저림 목디스크 (34) | 2023.02.07 |
---|---|
허리디스크랑은 다른거야? '척추협착증'에 대해 알아보자. (32) | 2023.02.06 |
엄지발가락이 너무 아파요. 통풍을 알아보자 (32) | 2023.01.31 |
자세가 허리 디스크 압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feat. 앉은 자세) (26) | 2023.01.29 |
명절이 두려워요. 명절증후군! (60)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