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척추가 틀어졌다?! 척추측만증

by 최거성 2022. 11. 1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척추측만증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환자분들이 오셔서 '척추측만증이 있는 것 같다'라고 하셔서 X-ray를 찍어보면 막상 아닌 경우가 많고 그 정도가 경미하여 측만증의 진단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에는 청소년들이 건강검진에서 측만이 발견되어 병원에 방문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측만이란 무엇일까요? 단순히 척추가 옆으로 틀어졌다? 측만이 무엇인지, 어떠한 경우에 발생하는지, 종류는 어떤것 들이 있는지, 내가 측만에 해당하는지 간단하게 체크 해 볼수 있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척추측만증이란?

척추측만증

- 척추가 측방으로 굽힘되고 동시에 척추와 흉곽이 비틀려 시상면의 형상이 손상되는것 

- 시상면의 흉추 후만감소와 요추 전만의 감소, 관상면에서 척추의 측방만곡과 척추체의 회전이 발생

쉽게 설명드리면 정면에서 관찰했을 때 1자 형태여야 하는 척추가 C자나 S자형태로 휘어져 척추 분균형이 발생하는 질환을 얘기합니다. 척추가 좌우로 휘어지고 골반과 어깨높이도 서로 달라지거나,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게 됩니다. 측만증은 크게 2종류로 잘못된 자세와 습관등으로 발생하는 기능적척추측만증과 원인불명의 이유로 청소년기에 호발하는 특발성척추측만증(구조적척추층만증)으로 나뉩니다. 

◆기능적척추층만증 

자세불량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앉아있는 자세라던지 한쪽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운동이나 업무 형태를 뛰는 행위가 반복되게 되면 그 움직임에 따라 척추가 변형되는 경우입니다. 라켓을 들고하는 운동(배트민턴, 테니스, 골프, 탁구 등)을 오랜 기간 반복하거나 몸을 한쪽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주로 C커브로 틀어지며 한쪽으로 척추가 한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 외에도 통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회피 패턴에 의해서 디스크 탈출증, 심한 요통으로 인해서 골반이 한쪽으로 빠지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경우는 디스크나 요통이 해결되면 척추는 다시 돌아옵니다. 

다리길이의 차이로 인해서도 측만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려서 다리를 다쳤거나 수술을 받은경우 실질적인 다리의 길이가 달라지면서 골반의 높이 등의 차이가 발생하여 척추가 틀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깔창 등을 이용하여 다리 길이를 맞춰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발성 척추측만증

구조적 척추측만증이라고도 불리며 특발성 이기 때문에 원인불명의 경우가 많습니다. 약 85%이상의 경우 특발성에 해당하며 그 외에도 선천적으로 태아기부터 척추 생성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하거나, 소아마비, 뇌성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 대부분의 측만증 환자들이 해당하는 특발성 척추층만증은 주로 사춘기 청소년 10~14세 사이에 발병하며 11~12세 시기에 급격한 진행을 보이고 남아보다 여아가 4배정도 발생률이 높습니다. 성장함에 따라 측만 각도가 증가하며 점점 심해지기 때문에 성장이 끝날 때까지는 추적 관찰과 치료가 아주 중요합니다. 가만히 두면 몇 개월, 몇 년 사이에 급격하게 심해집니다.

측만증은 각도에 따라 분류 됩니다. 측만증 각도는 Cobb angle이라 불리는 측정방법에 의해 분류합니다.

Cobb angle

∴ Cobb 0 ~ 10도 정상으로 간주하며 측만증이라 정의하지 않습니다.

∴ Cobb 10 ~ 15도 미만 척추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운동치료를 적용합니다. 

∴ Cobb 15 ~ 20도 척추의 회전이 발생하며 측만증 보조기 착용이 권장되며 운동치료를 적용합니다. 

∴ Cobb 20~ 40도 척추의 회전이 발생하며 보조기 착용이 필수이며 운동치료를 적용합니다. 심한경우 수술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병원에 방문하여 X-ray 검사를 통하여 Cobb각 측정이 가능하며 각도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집니다. 측만증에는 운동치료는 필수로 이루어 지며 특히 슈로스운동이라 불리는 측만증특화 운동을 적용합니다.

2.측만증 체크해보기

측만증테스트

그림에 나온 측만증 테스트를 통해서 기능적 측만증인지 구조적측만증인지 감별해 볼 수 있는 검사입니다. 

혼자 하시는분은 앞이나 뒤쪽에 삼각대를 세워 놓으시고 다른분이 있다면 뒤에서 사직 찍어주시면 좋습니다. 바로 선 자세에서 앞으로 손을 모으고 모은 두 손을 무릎사이에 끼운다는 생각으로 몸을 앞으로 숙입니다. 이때 다리는 쭉 펴져 있어야 하고 등 모양을 관찰 했을 때 비대칭이 있따면 구조적 측만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측만각측정
측만각도측정

스콜리오미터라 불리는 측만층을 측정하는 도구도 있지만 대략 5만원 전 후의 가격이기 때문에 구입하기에는 비싸기 때문에 저와 같이 병원이나 체형교정 쪽에 근무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어플을 통해서도 측정이 가능하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측정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위에 테스트와 동일한 동작을 취하고 숙였을 때 가장 높은 지점에 스마트폰을 올려 측정하시면 됩니다. 이 때에 이상이 발견되시면 병원에 가셔서 X-ray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이상 척추측만증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특발성 척추측만증은 성장함에 따라 각도가 점차 심해지기 때문에 빠른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학업이 걸려있는 시기이고 통증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학생들도 적극적이지 않고 보호자분들도 가볍게 여기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시기를 놓치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시는게 중요합니다. 기능적측만증은 자세를 바르게 하고 평상시에 편측으로 치우쳐 있는 자세나 작업형태만 바꾸어 주어도 개선이 충분히 가능하고 밸런스 운동을 추가로 해주면 효과가 좋습니다. 유튜브 등에 밸런스운동을 검색해서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포스팅도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