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주로 포스팅하고 있는 근골격계 질환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9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5139만 명 중 1761만 명이 근골격계 질환으로 진료를 받았다고 합니다. 국민의 3분의 1 정도가 근골격계 문제를 경험했다는 얘기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를 괴롭히는 근골격계 질환이 무엇인지 예방하려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알아보러 가시죠. Let' go
1. 근골격계 질환이란?
한줄로 요약하자면 근육 및 골격계통 부위에 피로가 누적되어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불균형한 자세, 휴식 부족, 갑작스러운 충격, 외력, 사고, 반복된 사용, 무리한 운동 등의 원인으로 연부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근골격계 질환입니다. 이는 신경, 인대, 관절, 혈관, 척추, 근육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생 초기에는 약간 붓거나, 피로감, 뻐근함 정도지만 치료나 관리 없이 방치하게 되면 통증, 감각 이상, 기능 저하 등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됩니다. 초기에는 "잠깐 이러다 말겠지", "힘쓸 때만 아프다" 점차 진행이 되면 가만히 있을 때도 아프고 심지어 자다가도 아파서 숙면을 취하기 힘들어집니다. 이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고 계속해서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고된 노동을 장시간 하는 경우에 많이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앉아서 업무를 보고, 작업을 하고, 공부를 하는 등 부적절한 자세가 오랫동안 유지되어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특히나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아주 어린 시절부터 핸드폰을 보는 시간이 길어져 자세가 구부정해지고 그로인해 척추질환을 겪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VDT(Visual Display Terminals) 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 자세, 시간에 따라 신체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2.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노력하기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운동, 스트레칭, 바른자세 유지, 작업환경 개선, 보호대 착용 등의 생활 습관이 있습니다.
근력운동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꼭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근력운동은 뼈를 형성하는 세포를 활성화 시켜 뼈를 튼튼하게 하고, 체중을 조절에 도움이 되어 척추와 관절에 무리를 줄여주며, 근육이 강화되고, 심장마비와 당뇨병의 위험까지 낮춰준다고 합니다.
본격적인 일에 들어가기 전에 그림과 같은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주고 적당한 긴장감을 유지시켜 일할 때 받는 스트레스를 줄여줄수 있습니다.
사무직의 경우 책상의 높이, 의자의 높이, 앉는 자세, 모니터의 높이, 키보드와 마우스의 위치, 앉아있는 시간 등을 조절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앉아 있는 시간과 자세는 디스크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주자주 의자에서 일어나 스트레칭해주어야 합니다.
2022.11.16 -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 척추중립, 바른자세란?
척추건강을 위한 바른 자세와 척추중립에 대한 이전 포스팅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이 밖에도 작업에 맞는 복장착용, 통증이 있거나 무리가 가는 부위에 보호대 착용, 중간중간 적절한 휴식등의 노력을 해주어야 합니다.
우리의 몸은 하나뿐이고 평생 써야 하기 때문에 일찍 고장 나면 남은 시간을 살아가는데 힘들어집니다. 아프게 되면 내가 하고 싶은 것들을 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젊고 건강할 때 관리를 잘해서 노년기에 고생하는 일이 없도록 잘 관리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절이 두려워요. 명절증후군! (60) | 2023.01.19 |
---|---|
고관절이 썩는다?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46) | 2023.01.18 |
어떤 과 진료를 봐야할까? 증상별 진료과 선택하기 (21) | 2023.01.15 |
비오는 날 허리, 무릎이 아픈 이유는? (40) | 2023.01.13 |
운동선수들 몸에 테이프를 왜 붙이고 뛰나요? (21)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