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극상근 파열에 관한 내용입니다. 극상근은 회전근개 중 하나로 회전근개 파열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위입니다. 그렇다면 극상근 파열은 무엇 때문에 일어나며 증상과 위험요소는 무엇일까요? 어깨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어깨통증의 주범인 극상근에 대해 알아보고 파열 원인과 위험요소까지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go!
극상근(Supraspinatus) 파열이 뭔데?
극상근 파열이란 극상근 근육의 파열 혹은 힘줄의 파열을 말합니다. 극상근은 회전근개의 일부로써 파열될 경우 대부분 다른 회전근개 손상도 동반됩니다. 퇴행성 변화와 부상 등으로 파열이 일어나며, 어깨를 돌리거나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있고 팔을 움직이는 힘이 약해지는 질환입니다.
회전근개는 날개뼈와 위팔뼈를 단단하게 잡아주는 근육들로써 어깨 안정화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 입니다. 그중 극상근은 견갑골 극 상부에서 상완골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어깨 관절의 벌림, 어깨 관절 탈구 방지, 어깨 관절 안정화를 담당하는 근육입니다.
극상근은 어깨 뒤쪽에 위치하여 상관골 머리를 덮어 뼈가 제자리에 잘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고 팔을 들어올리거나 회전시킬 때 큰 도움을 줍니다.
극상근을 포함한 회전근개 힘줄들은 하루에 삼만번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으로 인한 마모, 근육의 피로, 반복된 자극으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근육이 섬유화(뻣뻣하게 굳어짐) 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극상근 파열의 원인과 증상
◆ 주요 원인
- 충돌증후군으로 인한 견봉과 회전근개 힘줄의 반복된 충돌
- 오버 헤드 동작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근육의 마모(수영, 배드민턴, 테니스, 목수, 도배 등) = 퇴행성
- 반복적인 스트레스(고중량 웨이트 트레이닝)
- 노동에 의한 과사용과 힘줄의 노화
- 팔을 쭉 뻗은채로 넘어지는 경우
- 어깨 탈구 혹은 쇄골 골절 등과 같은 외상 = 급성파열
◆ 주요 증상
- 어깨통증과 함께 팔을 움직이는 힘이 약해짐
- 잘 때 어깨통증이 심하고, 아픈 어깨 쪽으로 돌아누우면 극심한 통증
- 어깨의 운동범위 감소
- 팔을 올리거나 돌릴 때 특정각도에서 통증
- 선반 위에 물건을 내릴 때 통증
◆ 극상근 검사 방법
Empty can test라고 부르는 이 테스트를 통해 극상근 상태와 파열 여부를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 환자는 팔을 쭉 편채로 바깥쪽으로 살짝 벌리고 안쪽으로 회전시켜 엄지손가락이 바닥방향으로 향한 자세를 취합니다.
- 검사자는 환자의 양쪽 팔을 잡고 바닥 방향으로 누르게 되는데 이때 "하나 둘 셋 세고 누를 테니 버티세요"라고 큐잉을 합니다.
- 이때 극상근 파열이 있는 팔은 버티지 못하고 아래로 끌려 내려가게 되며 통증이 발생됩니다.
극상근 파열의 위험요소
- 40세 이상의 나이(퇴행성)
- 여성보다 남성의 경우 많이 발생
- 반복적인 부하(무거운 물건을 많이 드는 직업)
- 과거 병력
- 혈액 순환 저하(어깨 근육들의 경우 사이즈가 작아 혈관분포가 적기 때문에 중요)
- 팔을 들고 작업하는 일이 많은 직업(배드민턴, 야구, 수영 선수, 도배, 인테리어 등)
극상근 파열 단계와 치료
대부분의 극상근 파열은 수술없이 치료가 가능합니다. 실제로 극상근 파열로 수술을 받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다른 근골격계 질환들과 마찬가지로 극상근 파열 또한 기본은 소염진통제 복용과 물리치료입니다. 이러한 일차적인 치료를 몇 주간 적용했음에도 효과가 없고 통증이 심하다면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주사치료(스테로이드, 인대증식)등을 시행합니다.
이러한 치료에도 효과가 없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완전파열과 같이 파열정도가 극심하여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이중 봉합술을 통해 회전근개를 봉합하거나 타가 힘줄 이식술을 통해 사람의 피부구조와 동일한 동종진피를 이용해 힘줄을 이식합니다. 수술 후에도 정상적으로 어깨 사용을 하려면 6개월에서 1년간 재활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극상근 파열 재활 운동
관절 중에서도 가장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손상 가능성 또한 가장 높은 곳 바로 어깨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스트레칭과 회전근개 강화운동을 평소에 틈틈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파열 후 보존적 치료로 통증이 가라앉은 후에는 특히 파열이 더 진행되는 것을 막고 회전근개가 튼튼해질 수 있도록 재활 운동은 필수입니다.
여기까지 극상근 파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병원에서 일하다보면 아주 흔하게 보는 질환입니다. 남녀 노소 할 것 없이 다양합니다. '난 젊으니까 괜찮아', '난 앉아서 사무만 하는데 어깨 아플 일 있겠어?'라고 방심하고 있다가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것이 어깨통증입니다. 스트레칭 자주 하고 회전근개운동도 종종 해주면 예방에 아주 좋겠습니다. 아프기 전에 지킵시다♥
'근골격계 문제 및 관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시작했더니 무릎통증, 슬개건염 (32) | 2023.03.24 |
---|---|
척추뼈가 분리되었다고? 척추분리증(feat. 허리통증) (42) | 2023.03.22 |
공 던질때 어깨가 뻐근하고 결린다면 어깨 관절와순 파열(Feat. 류현진) (35) | 2023.03.14 |
손목통증, 손목 돌릴 때 아프다면 척골충돌증후군을 의심해 보자. (37) | 2023.03.12 |
골프 연습 후 등이 아프다면? 늑골 염좌(feat.갈비뼈통증) (48) | 2023.03.09 |
댓글